실제임상사주/실제 임상사주

서울대 진학 사주팔자 -명관과마(明官跨馬) -

宰汕 2014. 3. 20. 00:52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겠지만

특히 옛날부터 입신양명이 중시되는 한국에서는

20대전에 어떤  환경에서 공부하고 어떤 학교를

가느냐가 긴 인생을 살아가는데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소위 말해서 명문대를 나온 사주 주인공일수록

남들보다 좀 더 유리한 조건에서 인생을 출발할 수 있으니

경쟁력면에서 유리하다 할 것이다.

 

그렇지만 반드시 명문대의 진학이 인생에서 성공의 필요충분

조건은 아닌듯 하다. 더 중요한 것은 자기가 타고난 장점의 직업을

가지고 살아가느냐가 훨씬 더 중요하리라 생각한다.

 

아래사주는 좋은 부모 밑에서 공부도 잘해서 소위 말해 명문대인

서울대 진학을 이룬 사주인데...

 

중구난방 흩어져 있던 사주정리하다 문득 일년전에

상담했던 이 사주를 발견했는데  기억이 새록새록하다.

 

 

 

사주를 한 번 살펴보고자 한다.

 

 

丙   壬   戊   乙        乾)

午   午   寅   亥

 

55   45   35    25   15    5

壬    癸    甲    乙    丙   丁

申    酉    戌    亥    子   丑

 

이 사주는 공부를 좋아서 하는 스타일은 아니다.

약간 천재과에 속하는 사주유형이다.

 

이 사주처럼 학문이나 공부를 의미하는 인성(印星)이

없어도 사주구성에 따라서는 얼마든지 공부를 잘 할 수 있는 사주가 된다.

월지 寅이 문창(文昌)에 해당되어 머리가 상당히 좋은 사람이다.

 

또한 이 사주는 잘 생긴 오행이나 육친들이 많다.

木 식상(食傷)과 火재성(財星)이 상당히 힘이 있는 사주이다.

 

이 사주를 잘못읽어 재다신약(財多身弱)의 사주로 해석하여

안 좋은 사주로 해석하면 큰 창피를 당할 수가 있다.

 

용신론의 시각으로 이 사주를 보면

일간의 힘이 약한 신약사주에 해당할 것이다. 그래서 이 사주의 용신은

水가 되어 운에서 金 水운이 들어오면 좋은 운으로 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이 사주는 초년운도 水로 들어오고

앞으로의 운도 金운으로 들어오니 소위 말해 운발이 좋은 사주라고 할 것이다.

 

문제는 이 용신론이라는 것이...

사주가 신약하면 일단 사주의 등급이 신강사주에 비해 한참 격이 떨어진다고

보는 것인데 이 사주는 그런 의미에서 격이 한참 떨어지는 사주에 속한다.

 

격이 떨어지는데도 서울대 들어간 이유를 잘 설명하지 못한다.

그래서 서울대 들어갔다고 하면 원국은 별론데 운이 좋아서 들어갔다고

할 가능성이 높은 사주이다. 그런 설명은 좀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봐야 한다.

 

특히나 용신론은 사주원국의 특징을 읽지를 못한다.

무조건 운의 희기(喜忌)만 쳐다보고 있으니 상담할때 이 시기는

운이 좋네요 아니면 운이 안 좋네요 하고 나면 내담자에게 할 말이 별로 없게 된다.

 

그리고 위에서 말한 재다신약의 사주들도 다 안좋은 사주가 아니다.

재다신약의 사주들도 남의 큰 돈 만지면서 월급봉투 맏는 안정된 직장생활을

하거나 아니면 자기 전문기술 자격같은 안정된 직업을 가지고 살면 큰 무리가 없는 것이다.

 

상담의 역활은 이 부분을 내담자에게 읽어주어야 할 것이다.

 

이 사주는 일간 壬도 연지 亥에 뿌리를

내리고 있으니 결코 일간(日干)도 약하지 않는 사주가 된다.

 

이 일간의 기운을 보는 것은 용신론에서 말하는

亥水가 용신이어서 그렇다는 것은 아니고 삶의 안정성이나

통제력 측면에서 식상과 재성이 강하면 일간이 좀 힘이 있는 것이 좋다.

 

삶의 안정성이 있고 인생의 굴곡이 없는 경우를 본다면

일간이 세력이 있는 것이 긍정적이라는 것이다.

이 사주는 상대적으로 식상(食傷)과 재성(財星)이 강한 사주인데

초년 운이 지지가 亥 子 丑으로 들어오는 것이 긍정적인 운의 흐름이다.

 

이렇게 본다면 이 사주는 못 생긴 글자가 없는 그야말로 올라운드 플레이어 사주이다.

水비겁(比劫)도 힘이 강하고 木식상(食傷)  火재성(財星)등이 모두 강한 사주이다.

 

사주는 일간의 신강(身强) 신약(身弱)에 상관없이 어떤 육친이던

힘이 강한 육친이 많고 그것들이 서로 소통이 잘되어 있으면 긍정적인 사주가 되는 것이다.

 

특히나 이 사주는 연지 亥수에서 출발하여

그 오행의 기운이 월간 戊토 관성(官星)에 머문다.

 

특히 연월(年月)의 관성(官星)은 초년의 학교 배지를 의미하는데

관성에 그 기운이 모두 몰리고 천간에 솟아 있으면서 지지의 재성(財星)의

보좌까지 받고 있으니 남들 눈에 폼나는 명문대 진학을 이루었을 것이다.

 

===============================================================================

 

좀 유식하게 이야기한다면  고전 사주책에

나온 용어중에 명관과마(明官跨馬)에 해당하는 사주유형이다.

 

명관과마란 천간(天干)에 드러난 관성(官星)이 지지의 재성(財星)의

생을 받아 힘이 있는 상태라는 뜻인데 여기서 馬는 재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 하나 이 사주는

지지에 보이는 글자중 寅이 망신(亡身) 午가 육해살(六害殺)이다.

이런 망신(亡身) 육해(六害)가 많을수록 자기 삶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신분상승의 욕구가 상당히 강해지는데 이 또한 긍정적인 부분이다.

 

이 사주가 아쉬운 점이라면 沖이 약하고 合이 많다는 것인데...

합이 많으면 아무래도 치열한 경쟁의식이나 역동성이 떨어질수 있는데

이 사주는 12신살의 망신과 육해살이 이를 커버해주고 있다.

 

戊午  丙午 양인(羊刃)도 충을 대용하여 강한 승부욕이나

삶의 프로기질을 만들어 주고 있어서 상당히 좋은 모습이다.

또한 인성(印星)이 없어도 문창(文昌)이나 양인(羊刃)등이

강하면 충분히 공부를 의미하는 글자로 써 먹을수 있다.

 

이 친구는 공부를 하루종일 하는 스타일은 아니다.

평소에 어슬렁 거리면서 노는듯 하지만 머리가 좋아서

평소에 한번 듣고 본 것은 잘 잊어먹지 않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

 

거기다 승부욕을 자극하는 힘이 강한 사주라

경쟁이 걸린 시험에서는 엄청난 집중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일간 壬수에 午 정재(正財)가 지지에 강한데....

일간 壬도 그렇고 정재라는 성분 자체가 상당히 실리적이다.

안정적인 정보를 저장하고 몸에 해롭거나 자기 삶에 손해보는 일들은 잘 하지 않는다.

 

壬수도 그렇고 재성도 그렇고 사람들하고 관계가 엄청 싹싹하고 부드러워서

언행이 상당히 인간지향적인 성향이 강하게 느껴지는데  결정적으로

밥이나 술값은 잘 안내는 스타일이니 상당히 자기관리나 실속이 좋다는 것이다.

 

이 세상의 경쟁논리가 착하고 배려하면 경쟁에서 뒤쳐지지는 구조인데

이러한 실속파들의 사주는 그런 면에서 상당히 삶의 경쟁력이 있는 것이다.

 

서울대 공대쪽으로 진로를 잡았는데...

이 사주 주인공은 火재성이 강해서 기계조립이나 건축 설계등의 능력도 좋을 것이다.

물론 午午 형살(刑殺)과 양인(羊刃)이나 식상(食傷)도 기술성 중심으로

잘 써 먹을 수 있는 성분이라 공대로의 진학은 잘 맞는 것이라 생각한다.

 

내년 乙未년에 지살(地殺)운이라 아마도 유학이나 이동수가 있을 것이다.

해외에 나가서 공부해도 좋은 사주라 본인이 하고 싶은대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다만 이 사주가 시상(時上)에 丙화 편재(偏財)가 드러나 있어서

나이 먹어 갈수록 이 편재의 유혹을 늘 머릿속에 품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

큰 돈에 대한 욕망이나 사업을 통해 폼 잡고 싶은 욕망은 주의해야 할 것이다.

 

그런면에서 35 甲戌대운은 폼 잡지 말고 보내야 할 것이다.

세상 실속을 따라 살면 이 시기를 전후하여 좀 고달픈 세월이 있을 것이다.

아무리 좋은 사주도 자기 분에 벗어나서 살면 굴곡이 있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이 사주는 어떤 직업이 좋을까?

 

외국 나가서 공부 많이하고 국내에 들어와 교수나 연구원처럼

폼을 잡아도 명예로 폼을 잡는 직업을 하고 살면 아주 좋은 사주이다.

 

관성 戊토도 잘 생긴 사주이고 필설(筆舌)을 의미하는

식상 寅도 잘 생긴 사주라 이런쪽의 직업이라면 평생 안정적인 삶을 영위하리라 본다.

 

우스개 소리로 사주 안봐도 되는

사주가 있다고 하는데 이 사주가 딱 그런 사주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