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명인 사주풀이 /간단한 풀이

탈렌트 겸 영화배우 이진욱 사주풀이

아래에서 탈렌트겸 영화배우인 이진욱 님(이하 존칭생략)의 사주를 풀어보기로 한다.

2016년에 소송의 문제를 겪고 있는데 이에 대하여도 살펴보고자 한다.



이진욱사주


1981년 9월 16일


0  丁  丁  辛

0  酉  酉  酉


63  53  43  33  23  13  3

庚  辛  壬    甲  乙  丙

寅  卯  辰    午  未  申


이진욱 사주는 연예 예술 방송에 아주 잘 맞는 구성을 하고 있다.

지지에 연예인 사주에서 많이 보이는 酉라는 글자가 상당히 많다.

잘 아시다시피 酉는 끼를 의미하는 도화를 의미하기 때문에 연예인의 직업에 잘 맞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사주는 격(格)으로 본다면 편재격(偏財格)이다.

편재의 속성 자체도 끼를 발휘하는 연예 예술 분야에 잘 맞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필자의 다른 유명인 사주풀이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일간을 의미하는 丁(火)도 그렇고 특히  지지의 酉(金)등은 모두 잘 생긴 글자에 해당한다.

용모가 수려한 글자가 많은 사주이고 특히 酉등은 조각같은 미남 미녀가 많다.

이런 글자의 특성으로 인하여 대중들 ,특히나 이성들에게 상당한 호감이나 어필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인기를 얻고 사는 연예인의 직업으로는 상당히 장점이 많은 사주라는 것이다.


金 재성이 강한 재다(財多)의 사주인데.....

재성이 강한 사주는 이성적이고 지적이면서도 상당히 매너가 좋고 부드럽다는 것이다.

또한 현실적이고 경제관념이 좋고 자기관리능력도 좋은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런 장점도 사주에 재성이 어느정도 적당하게 존재해야 가능할 것이다.


사주에 재성이 강한 사주는 그 이면에 있는 다른 성향도 살펴야 한다.

위에서 열거한 성향과는 전혀 다른 모습들이 나올 수 있다는 점이다.

원래 재성의 속성도 그렇고 특히나 金의 성향도 원래는 상당히 현실적이면서 논리적이고 냉정한 경우가 많다.

하지만 사주에 金 재성이 강해질수록 원래 木의 성향인 가장 인간지향적인 성향이 강하게 나온다는 점이다.


즉 사주에서 하나의 오행이나 육친이 강할수록 그 반대의 성향이 강해진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金이 강하면 강할수록 그 반대성향인 木의 성향이 강해지는 것이고

재성(財星)이 강한 사주일수록 재성을 극(剋)하는 비겁(比怯)의 성향이 강해질수 있다.


이것이 역설의 이치일 것이다.

우리가 사주를 배울때 金은 木을 극(剋)한다... 비겁(比怯)은 재성(財星)을 극(剋)한다 라고 배우지만

때로는 이 극하는 관계가 서로에게 가장 밀접하게 영향을 주는 생(生) 작용을 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金은 木을 극한다라는 개념이 金이 木을 죽일만큼 싫어한다는 것이 아니라 金은 木이 없으면 그 존재가치가 없음을 의미한다.


金이 가장 金다운 가치를 발휘하려면 木이 없으면 안되는 것이다.

낙엽지는 가을이 되어서야 생명을 잉태하는 봄의 위대함을 아는 것이고

지상의 생명체들이 푸르게 살아있는 봄에는 모든 생명을 숙살(肅殺)하는 가을의 고마움을 아는 것이다.

결국은 이 자연은 서로 극하는 성분이 없으면 존재할 수가 없는 것이다.


이진욱 사주는 金 재성이 강한 사주에 해당한다.

金이 강할수록 木의 성향인 인간지향적이고 휴머니즘을 추구하는 성향이 강해질 수 있다.

金의 일지향적이고 완벽하고 철두철미한 성향의 이면에는 사람지향적인 착한 기질이 있는 것이다.

그래서 역설적이게도 金多의 사주들이 木의 성향에서 강하게 나오는 공황장애를 겪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사람지향적인 휴머니즘이 있다는 것은....

외로 자기와 코드나 필이 통하는 사람에게 올인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어서

그런 사람의 말을 쉽게 믿어버리는 어리버리하고 순진한 착한 본성이 나올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이진욱 사주는 육친으로 재성도 강한 사주라 비겁의 성향도 존재하리라 본다.

비겁은 자존심이나 독립적인 성향도 강하지만 가장 예민하고 감성지향적인 성향이 강한 특징이 있다.

감성지향적이라 함은 분위기에 쉽게 휩쓸리는 충동적인 기분파의 기질도 존재할 가능성도 높다고 본다.

그리고 자존심이 강하다는 것은 남을 의식하고 체면을 중시하기 때문에 의외로 여리고 예민한 성향이 강한 것이다.


특히 재성들은 사람들하고의 관계성에 대한 부담감이 존재한다.

본인은 슬퍼도 사람하고의 관계 때문에 웃어주어야 하는 남 모를 고충이 있을 수 있다.

그래서 金재성이 강한 이진욱의 경우엔 사람하고 관계에서 어려운 부탁을 거절하지 못하는 우유부단함이 있을 것이다.

또한 자기 코드에 맞거나 필(feel)이 통한다고 생각하는 상대방이 조금만 잘해 주어도 그 사람 말을 쉽게 믿어버리는

순진함이나 착한 기질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예전에 삼시세끼라는 프로그램에 게스트로 나왔을때 필자는 이진욱에게서 이런 느낌을 많이 받았었는데

이번에 그의 사주를 풀면서 그런 느낌이 이해가 되었다.

2016년에 일반인 여성분으로부터 성폭행 볌의로 피소되었는데 이런 일들은 인생을 살면서

일어날 수 있는 사건사고에 해당한다. 다만 위에 적은 이진욱의 성향을 본다면 성폭행을 일으킬 정도의

성격이나 사주는 아니라고 생각된다. 위의 이진욱의 성향을 본다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시각으로 이 사주의 특징이나 흐름 그리고 운에 대하여 살펴본다면....

필자가 늘 주장한 것처럼 사주는 하나의 오행이나 육친으로 강하게 편중될수록 인생을 모험적 구조나

일확천금으로 끌고가서 살아가면서 굴곡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인 사주이론에서는 이진욱 사주을 가지고 일간이 힘이 없어서 종재격(從財格)으로 보아

金을 용신으로 보는 시각도 있을 것이고 신약한 사주로 보아 木이나 火를 용신으로 보는 시각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신강 신약이나 종재 용신등의 이론과는 아무런 관계없이 사주가 하나의 기운으로 편중될수록

굴곡을 겪을 수 있는 위험성이 늘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주가 편중된다함은 늘 욕망이 강해질수 있는 것이다.

이 세상의 모든 인생의 굴곡은 바로 욕망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특히 이진욱 사주처럼 金 재성이 강한 사주들은 큰 돈에 대한 욕망으로 일확천금을 꿈꾸어 돈 문제로 힘들어지는 경우도 있고

남자에게 재성은 여자를 의미하는 것이니 주변에 여자하고의 문제로 인한 고달픔이나 고충을 겪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진욱 사주처럼 하나의 오행과 육친으로 편중된 사주는 이를 견제해 주는 글자가 사주에 있는 것이 좋다.

견제해주는 글자가 있다는 것은 삶의 절제요소가 생길수 있기 때문이다.

이진욱 사주는 그런 점에서 조금은 아쉽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金 재성이 강하니 이를 보완해줄 수 있는 土 식상(食傷)이 사주에 드러나 있는 것도 좋을 것이다.

아니면 인생 전반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木인성(印星)도 사주에 있다면 더 좋을 것이고..

또한 金을 강하게 견제하면서 사주를 신왕(神旺) 재왕(財旺)으로 중화를 시켜주는 火비겁(比怯)도 있으면 좋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는 태어난 시에 따라서 여러가지로 달라질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 사주는 연월일에 너무 金재성이 강하다보니 시주에 木이나 火 그리고 土등이 오더라도  적절하게 균형을

잡기에는 쉽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金 재성이 강하면 부드럽고 매너가 있고 특히 酉라는 글자가 많으면 이성들에게 상당히 어필할 수 있다고 했는데

이를 가장 현명하고 알차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바로 인기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즉 개별적인 여성을 자주 만나는 것보다는 대중이나 관객으로 활용한다면 상당한 인기를 얻을 수 있고 더불어 큰 돈도 벌 수 있다.

그래서 요새는 재성이 강한 사주들이 연예 예술 방송등으로 많이 진출하는 것이다.


이진욱 사주의 운의 흐름을 본다면...

초년의 공부운이나 부모하고의 관계나 인연등에 대해서는 지면관계상 생략한다.

23세가 되는 2003년부터 甲午대운이 들어온다.


甲은 첫번째를 의미하기 때문에 인생의 새로운 출발을 의미한다.

이진욱은 2003년부터 모델을 시작으로 연예계에 데뷔하였다.

이 대운의 지지는 午(火)인데....

午(火)는 필자가 늘 주장하는 것처럼 연예인 사주에서 인기나 대중의 시선집중을 잘 받을 수 있는 도화대운이다.

이진욱은 닭(酉)띠이기 때문에 이 午(火)가 연살도화에도 해당하기 때문에 인기를 얻는데 더 긍정적인 시기이다.


그런데 2013년부터 들어오는 33癸巳대운은 조금 부담이 될 수 있다.

지지로 巳(火)는 사주원국의 酉(金)을 巳酉=金으로 묶어서 가뜩이나 사주원국에 金이 강한데 대운에서도

金 재성을 과다하게 만들어 주는 시기라 살아가면서 예상치 못한 삶의 굴곡이 생길 수 있는 시기이다.


金 재성이 과다해지니 돈 문제로 인한 고달픔이 생기거나 여자문제를 조심해야할 시기이다.

또한 천간의 癸(水) 관성(官星)은 金 재성이 너무 과다해지기 때문에 금다수탁(金多水濁)이 되어 癸(水)가 탁해진다.

바로 관성이 의미하는 명예의 손상이나 관재구설등에 노출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는 대운이라는 점이다.


이 대운을 시작할때는...

바로 이러한 점에 유념하여 살면서 조심하고 또 조심해야 하는데 사람 일이라는 것이 어디 자기 뜻대로 되는 것인가?

세운으로 본다면 이 대운의 2016년의 丙申년에 언론보도에 나온 것처럼 일반인 여성과 성적인 문제로 고소를 당하게

되고 본인도 여성을 무고죄로 고소하는 상황이 되었다.


2016년 丙申년에 왜 그러한 일들이 일어났는지 사주풀이로 설명할 수도 있지만 이미 일어난 일을 가지고

풀어보았자 결과에 때려맞추는 일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별 의미는 없다고 생각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이진욱에게 있어서 2016년 丙申년은 불미스러운 일만 있는 해는 아니라는 것이다.


이 해는 새로운 뱃지나 명함 조직 직장을 의미하는 관성 壬(水)가 申에서 세력을 얻어가는 때라서

일하는 환경이나 조직 등이 새로 바뀌는 해이기도 하다는 점이다.

이렇게 우리 인생은 일반 고전론에서 말하는 용신(用神) 기신(忌神)과는 전혀 상관없이.....

좋은 의미의 새로운 변화변동과 부정적인 사건사고가 동시에 일어나는 것이다.





앞으로 이진욱에게 어떻게 될 것인가?


법적인 부분까지 사주로 정리하기에는 불확실한 요인이나 고려해야할 외부적 변수도 많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진욱 뿐만 아니라 상대방 여성분의 주장도 있기 때문에 사주로 일방적으로 주장하기에 더욱 조심스럽다.


올해 丙申년이나 내년 丁酉년의 운세를 본다면 이진욱에게 조금은 불리한 부분이 있긴한데 운의 긍정적인

부분과 부정적인 부분을 동시에 살펴본다면...

내년은 丁酉년인데 이진욱의 일주나 월주 모두가 丁酉라 복음(伏吟)이 아주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해이다.

그리고 올해나 내년에 세운에서 金 재성이 더 과다하게 몰려오는 것도 부정적인 모습이다.

복음이란 엎드려서 울 일이 많은 시기이거나 일적인 면에서 아주 고충이 많은 식으로 해석하기도 하는데

대부분 부정적인 의미로 많이 쓰기 때문에 이진욱에게는 조금은 부담스러울 수 있는 시기라는 것이다.


그리고 2016년 丙申년이 망신운중에서도 음욕망신(淫浴亡身)이라 애정사로 인한 구설수에 노출될수도 있는 해이다.

만약에 사주원국에 재성이 너무 강하지 않았다면 이런 해에는 새로운 애정이나 인연을 만날수도 있는데

이진욱의 경우엔 사주원국도 그렇고 대운도 그렇고 너무 金재성이 과다해서 문제가 생기지 않았을까 한다.


그래도 이진욱에게 긍정적인 부분이라면 내년 丁酉년이 천을귀인(天乙貴人)이 동시에 들어오는 해라는 것이다.

또한 원래 사주에도 천을귀인이 상당히 강하게 분포되어 있다.

이런 사주는 어려움 속에서도 탈없이 주변의 도움으로 무사히 일이 매듭지어 질수 있는 상황이 잘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인생이 아무리  고난이 많아도 극단적으로까지 힘들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신기한 것은 여자분이 이진욱을 고소한 날이 7월 14일인데 이 날의 일진이 丁酉일 이었다는 점이다.

일진에서도 복음에 해당되고 가뜩이나 金이 강한 사주인데 원국이나 대운 세운 그리고 일진에서도 강하게 金재성이

몰려있는 날이기도 했다. 강한 압력성으로 인하여 이진욱에게는 큰 사건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인자가 강한 날이었다고 본다.


참고로 필자가 주역점을 쳐 보았는데 결과는 이진욱에게 불리하게 나왔다.

그런데 주역점은 지금 상황에서 판단하는 것이라 앞으로의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바뀔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이것은 필자가 참고용으로 한 것이므로 틀릴 수도 있다는 점을 미리 밝힌다.

그리고 고소를 한 여자분의 입장에서도 점을 쳐서 두 사람의 운세를 비교해 봐야하는데 여자분의 사주를 알 길이 없고

시간상 여자분의 주역점은 생략하였기 때문에 정밀도는 떨어질 수 있다는 점도 밝힌다.


주역점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이진욱의 소송이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하여 주역점을 쳐 보았는데 화수미제(火水未濟)의 초육(初六)괘가 나왔다.

원래 화수미제괘는 불이 위에 있고 물이 아래에 있어서 서로 사귀지 못하는 상이다.

또한 삼양(三陽) 삼음(三陰) 모두 바른 위치에 있지 못하고 특히나 내괘가 감수(坎水)괘이다.

여기서 감(坎)은 구덩이 감(坎)를 의미하는데 구덩이에 빠져 건너지 못하는 상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화수미제의 본문을 보면....

미제(未濟)는 형(亨)하니 소호(少狐) 흘제(汔濟)하야 유기미(濡其尾)니 무유리(无攸利)하니라.


-소호(少狐) : 작은 여우

  흘제(汔濟) : 거의 건너서

  유기미(濡其尾) :그 꼬리를 적시니

  무유리(无攸利) : 이로울 바가 없다.


원래 여우는 아주 꾀가 많은 동물이라 강을 건너더라도 주변을 아주 노련하게 잘 살피고 건너는데

이 경우는 조심성이 없는 작은 여우라 강을 건너다 끝에 와서 힘에 부쳐 강을 못 건너니 이로울 것이 없다는 뜻이다.

즉 어린 여우가 강을 건너다 힘에 부쳐 구덩이에 빠져 못 건너고 있는 상황을 말함이다.


특히 점사로 취한 초육(初六)괘는

유기미(濡其尾)니 인(吝)하니라 이다.


이 괘의 뜻을 보면....

현재 소통이 안되는 미제(未濟)의 처음에 있고 곤경에 처해있는 감(坎)에 있다는 것인데 세상살이가 어설픈 작고 어린 여우가

자신의 힘으로 강을 건너기에는 너무 힘이 부쳐서 강을 건너지 못하고 꼬리를 물에 적시고 있다는 것이니 인색하다는 의미이다.


원래 초육이 동(動)하면 화택규(火澤暌)로서 내괘가 태(兌)괘가 되어 앞으로 기뻐하며 나아간다는 의미가 되는데

위의 괘가 리(離)괘가 되어 막힘을 당하니(防) 인색해 진다는 의미로도 해석될수가 있다.


좀 쉽게 표현한다면 이 괘는 자기 위치나 분수를 잘 지키지 못하고 일을 벌리다 봉변이나 망신을 당하는 상황을 의미하는 괘이다.

특히나 주역점에서 인색함을 의미하는 인(吝)이 점사에 나오면 긍정적인 의미보다는 부정적인 의미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다.


주역점에서는 이진욱에게 안 좋은 괘사가 나왔다.

그러나 소송점은 상대방이 있기 때문에 이진욱의 사주뿐 만이 아니라 상대방 여성의 사주도 동시에 비교하여야

좀 더 정확하다는 것이다. 상대방 여성의 사주를 알 수 없으니 이 분석이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번 밝힌다.

아무튼 소송 결과가 이진욱에게 좋다하더라도 상처뿐인 영광이 될 수도 있는 상황이라 생각된다.


이상 이진욱님의 사주를 살펴보았는데 혹시라도 글을 쓰는 와중에 결례가 되는 표현이 있다면 정중하게 이해를 구하는 바이다.

그리고 지금의 일을 잘 극복하고 앞으로 이진욱님의 앞날에 좋은 일이 있기를 바란다.